
1. 문제 제기
대형마트에서 상품을 카트에 가득 담아놓고 결국 구매하지 않는 ‘얌체 쇼핑족’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고객인 척하며 시식만 즐기거나, 일부 상품을 사용하고도 결제하지 않고 매장을 떠나는 행태를 보인다. 이로 인해 마트 측은 신선식품 폐기 및 운영상의 손실을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이러한 행위가 점점 더 빈번해지고 있지만, 마트 측에서도 마땅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2. 현황 및 피해 실태
지난 22일, 경기 수원의 한 대형마트에서는 상품이 가득 담긴 여러 개의 카트가 방치된 채 발견됐다. 카트 안에는 과일과 채소, 냉장·냉동식품뿐만 아니라 라면, 맥주, 과자 등 다양한 상품이 담겨 있었지만, 정작 ‘카트 주인’은 보이지 않았다. 마트 직원들은 이를 하나씩 회수하여 냉장고와 냉동고로 옮기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마트 관계자는 **“이런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며 “직원들이 수시로 매장을 돌며 방치된 카트를 신속하게 정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기자가 해당 마트를 방문할 때마다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었다.
‘얌체 쇼핑족’의 특징
- 시식 코너를 돌아다니며 여러 가지 음식을 맛본다.
- 카트에 상품을 가득 담아 고객인 것처럼 보이게 한다.
- 쇼핑 도중 과일이나 음료를 몰래 섭취한다.
- 결국 결제하지 않고 카트를 방치한 채 매장을 떠난다.
3. 찬반 의견 정리
‘얌체 쇼핑족’ 근절 대책이 필요하다 (마트 관계자 입장)
- 신선식품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해 결국 폐기 처분해야 한다.
- 마트 운영에 불필요한 인력과 비용이 소모된다.
-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지만 마땅한 규제가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과도한 감시는 인권침해 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소비자 및 인권단체 입장)
- 모든 고객을 잠재적 ‘얌체 쇼핑족’으로 간주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 과도한 감시나 단속이 소비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 쇼핑 중 변심하여 구매하지 않는 것도 소비자의 권리이다.
4. 여론 반응
온라인에서는 ‘얌체 쇼핑족’에 대한 비판이 거세다.
- “마트에서 시식만 하고 상품은 전혀 안 사는 사람들 보면 진짜 짜증난다.”
- “먹기만 하고 도망가는 건 도둑질 아닌가?”
- “카트 방치하는 사람들 때문에 직원들이 고생하는 거 보면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 “CCTV로 감시하면 인권침해 논란이 나올 테고, 결국 고객 양심에 맡기는 수밖에 없나?”
일각에서는 **‘얌체 쇼핑족 블랙리스트’**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상습적으로 이런 행동을 하는 고객을 CCTV로 확인해 내부적으로 공유하자는 의견이다. 그러나 모든 고객을 감시할 수 없고, 인권 침해 논란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실효성이 낮다는 반론도 있다.
5. 결론 및 전망
‘얌체 쇼핑족’ 문제는 단순한 소비자 행태의 변화가 아니라, 대형마트 운영과 고객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로 번지고 있다. 하지만 마트 측이 강력한 단속을 시행하기 어려운 만큼,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
가능한 해결 방안
- 일정 금액 이상의 선결제 시스템 도입 (예: 창고형 마트처럼 회원제 운영)
- 시식 코너 운영 방식 개선 (직원이 직접 제공하는 방식으로 변경)
- 고객의식 개선 캠페인 진행 (매장 내 안내문 및 홍보 강화)
- CCTV 감시보다는 직원 순찰 강화 (사전 예방 효과 기대)
궁극적으로, 고객의 도덕적 의식이 높아지지 않는다면 이 문제는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대형마트가 보다 효율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피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