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더불어민주당의 ‘전세 10년 보장’ 개편안, 실효성 있나?

by SmartStory. 2025. 3. 15.
반응형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의 ‘전세 10년 보장’ 개편안, 실효성 있나?

더불어민주당이 전세 계약을 최대 10년까지 보장하고 이후 연장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임대차 개편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 정책이 전세 시장을 경직시키고, 전세 가격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이미 문재인 정부 시절 시행된 임대차 3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전월세 신고제) 이 전세 대란을 불러왔던 만큼, 이번 개편안 역시 같은 문제를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


문재인 정부의 임대차 3법 실패, 전세 대란을 초래하다

2020년 문재인 정부가 시행한 임대차 3법은 당초 세입자 보호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전세 매물 부족과 전세값 폭등을 초래하며 서민들에게 더 큰 부담을 안겨준 실패한 정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계약갱신청구권(2+2년 보장) 도입으로 인해, 임대인들이 향후 가격 인상을 미리 반영해 전셋값을 크게 올렸다.
  • 전월세상한제(5% 이내 인상 제한) 로 인해 임대인들이 전세 대신 월세로 전환하면서 시장이 불안정해졌다.
  • 전월세 신고제 도입으로 세금 부담이 커진 임대인들이 전세를 포기하고 월세로 전환하는 흐름이 가속화되었다.

이로 인해 전세 매물이 급감하고 가격이 폭등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 2020년 전세가 상승률: 7.52%
    • 2021년 전세가 상승률: 12.01%

정책 시행 이후 전세 시장이 극심한 혼란에 빠지면서 **‘전세 대란’**이 발생했고, 결국 피해는 세입자들에게 돌아갔다.


전세 10년 보장? 오히려 시장 불안만 가중

이번 민주당 개편안은 현행 2+2년 계약을 10년까지 연장 가능하도록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책이 전세 시장을 더욱 경직시키고, 월세화와 전세 사기 위험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우려한다.

  • 전세 매물 부족 가속화
    • 10년 장기 임대가 강제되면 임대인들은 전세를 포기하고 월세로 돌릴 가능성이 높다.
    • 전세 매물이 줄어들면 수요가 몰려 전셋값이 더욱 폭등할 수밖에 없다.
  • 월세화 가속 → 서민 부담 증가
    • 전세를 찾지 못한 세입자들이 월세로 이동하면서 월세 부담이 증가할 것이다.
    • 전월세 전환율(전세 → 월세)
      • 2020년: 4.5%
      • 2022년: 5%대
      • 2023년 4분기: 6%대

이처럼 전세 물량이 줄어들면서 월세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서민들의 부담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 전세 사기 위험 증가
    • 전세 보장 기간이 길어지면 임대인들이 한 번에 많은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깡통 전세’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 최근 빌라왕 사건과 같은 전세 사기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정책이 오히려 전세 사기 위험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주거 자유 침해 & 사유재산 침해 논란

전세 계약을 10년간 강제하면, 임차인의 주거 이동 자유도 감소하게 된다.

  • 전세는 월세보다 자산을 저축할 수 있고, 매매보다 부담이 적은 방식으로 거주지를 변경할 수 있는 주거 형태다.
  • 하지만 장기 전세 계약이 강제되면, 원하는 시점에 거주지를 이동하기 어려워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법안은 임대인의 사유재산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조치로 비판받고 있다.

  • 민주당이 서민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개인의 재산권을 강하게 통제하려 한다는 점에서 비판이 크다.
  • “아예 싱가포르처럼 국가가 임대주택을 운영하든가, 왜 개인 재산을 통제하려 하느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민주당의 정책 방향, 정말 서민을 위한 것인가?

민주당은 이번 정책이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전세 매물 부족, 전세값 상승, 월세화 가속, 전세 사기 위험 증가라는 역효과를 낳을 가능성이 크다.

과거 임대차 3법 실패에도 불구하고, 같은 방식의 정책을 강화하는 것은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다.
정말 서민을 위하는 정책이라면,

  • 공공임대 확대
  • 전세금 반환보증 강화
  • 시장과 조화를 이루는 합리적 규제 등이 필요하다.

여론 반응

이번 민주당 개편안에 대해 국민들의 반응은 강하게 부정적이다.

  • “이 정도면 나라 망치려고 작정한 것 같다.”
  • “윤석열이 옳았다.”
  • “민주당이 아니고 공산당 아니냐?”
  • “아직도 민주당 지지하는 인간이 있냐?”

과거 정책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같은 방식의 규제를 강화하는 것은 결국 서민들에게 더 큰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