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15일,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가 출마하지 못할 경우 나도 대선 출마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대선에서 호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민주당이 승리하기 위해서는 호남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 선거와 호남의 역할
박 전 원장은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호남에서 81%의 지지를 받았지만, 결국 0.73% 차이로 패배했다"며 "이번에는 호남에서 93~95%의 압도적 지지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호남이 민주당의 핵심 지지층으로서 더욱 결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원의 출마 가능성
박 전 원장은 이재명 대표가 법적 문제 등으로 출마하지 못할 경우, 자신의 출마 가능성을 열어두겠다고 밝혔다. 그는 "호남이 민주당을 위해 역할을 해야 한다면 나도 할 수 있다"며 본인의 정치적 가능성을 시사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이에 대한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법적 논란
박 전 원장은 과거 여러 차례 법적 논란에 휘말린 바 있다. 2022년에는 국가정보원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국정원장으로 재직하면서 일부 정보 유출 및 문건 삭제 의혹이 제기되었다. 또한, 정치자금법 위반과 관련한 의혹도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법적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그의 정치적 행보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찬반 논란
찬성 측:
- "호남이 결집해야 정권을 되찾을 수 있다. 박지원 같은 중량급 인사가 나서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 "이재명 대표가 출마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대안이 필요하다."
반대 측:
- "호남만 바라보는 전략은 전국적 확장성이 부족하다. 민주당이 전국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에서 과거 인물들이 다시 등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박 전 원장의 법적 논란이 많아, 출마를 하더라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정치권 반응과 향후 전망
박 전 원장의 발언은 민주당 내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일부는 그의 주장에 동의하며 호남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다른 일부는 민주당이 특정 지역에 의존하는 전략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박 전 원장의 법적 논란이 그의 대선 출마 가능성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번 논란은 단순히 박 전 원장의 출마 여부를 넘어, 민주당이 차기 대선에서 어떤 전략을 선택할지에 대한 중요한 논의로 이어질 전망이다.